최근에 버스나 지하철을 타게되면 기후동행카드라는 용어를 자주 접하게 되는데요. 서울시에서 지원하는 시범사업(2024.01.27 ~ 06.30)인데 경기도민인 저도 사용할 수 있는지, 과연 얼마나 도움이 될 수 있을지 알아보았습니다.
1. 서울특별시 기후동행카드 시범사업 주요내용
기후동행카드란, 1회 요금 충전으로 30일간 대중교통(지하철, 버스), 따릉이를 무제한 이용할 수 있는 대중교통 통합정기권입니다.
2. 이용범위
- 서울지역 지하철, 서울시 면허 시내•마을버스, 따릉이
※ 버스 : 서울시 면허 버스는 서울지역 외에서 승차하더라도 기후동행카드 사용가능
※ 지하철 : 서울지역 내 역에서 승차 후 서울지역 외 역에서 하차할 경우 기후동행카드 사용불가
- 기후동행카드 2종류 구성
62,000원권 : 서울지역 지하철, 버스
65,000원권: 서울지역 지하철, 버스 + 따릉이
3. 사용법
❶ 주로 이용하는 대중교통 수단이 기후동행카드 "서비스 범위"에 포함되는지 확인
❷ 본인 휴대전화 기종이 무엇인지 확인
❸ 안드로이드 기반 휴대전화, 삼성, LG, 구글의 경우 ➡︎ 모바일 카드 유형
➡︎ '모바일티머니' 앱을 다운로드하여 회원가입 후 '기후동행카드' 발급 및 충전
❹ iOS기반 휴대전화(또는 디지털 약자), 아이폰의 경우 ➡︎ 실물카드 유형
➡︎ 서울교통공사(1~8호선) 고객안전실 및 역사 인근 편의점 방문하여 기후동행카드 구매
➡︎ '티머니 카드 & 페이' 홈페이지 등록 및 구매한 카드를 역사 내 무인충전기에서 충전
4. 조사 결과
4호선 인덕원역 근처에 살고있는 경기도민인 나에게 기후동행카드의 혜택은 과연 있을 것인가?
지하철 ➡︎ 4호선의 경우 남태령 역부터 적용가능하여, 특별히 서울 시내로 출퇴근 하는것이 아니라면 의미가 없음
버스 ➡︎ 보통 파란버스(441, 540, 502)를 타고다니는데 이 버스들은 서울시 면허 버스여서 그런지 기후동행카드로 승하차가 가능함.
성인 버스비용 편도 1500원, 왕복 3000원을 기준으로 계산해보았을때, 한달에 20.6회(62,000원권 기준) 이상으로 자주 버스를 타고다닌다면 충분히 기후동행카드 혜택을 받을 수 있을 것입니다. (주5일 이상 출퇴근 버스를 타시는 분들이라면 혜택이 있겠네요..)
하지만 저는 월 20일 이상 버스를 타지 않는 집순이라서 그런지,, 저에게는 큰 혜택이 없을 것이라는 결론을 내렸습니다..